1. 리스트
01. 정의
: 하나의 변수에 여러 개의 데이터를 넣고, 이를 순서에 따라서 출력한다.
02. 특징:
- 값을 변경(치환/ 추가/ 제거) 할 수 있는 데이터 유형이다.
- 리스트 안에 리스트를 넣을 수도 있다.
03. 사용법
: [ ] 대괄호를 사용하여 순서대로 입력한다.
- [ ] 대괄호 안에 들어가는 값은 인덱스라고 부른다.
- 리스트의 인덱스는 1로 시작하지 않고 0으로 시작한다.
(즉, 리스트 안에 값이 n개가 있다면, 순서는 0부터 n-1 까지 있다.)
04. 예시
*예시1) 1년 12달 각각의 날 수를 변수에 저장, 출력해보자
원래는 아래와 같이 하나의 변수에 하나씩 저장하던 것을
month1 = 31 month2 = 28 month3 = 31 month4 = 30 ... |
리스트를 사용하면 한번에 간편하게 저장, 출력할 수 있다.
days_of_months = [31, 28, 31, 30, 31, 30, 31, 31, 30, 31, 30, 31] |
리스트를 저장, 출력하고 형태를 출력해보았다

*예시2) 특정 순서 인덱스 출력하기
인덱스 1을 출력하면, 첫번째 값(31)이 아닌 두번째 값(28)이 나온다

인덱스 0을 출력해야 첫번째 값이 나온다
ㄴ 인덱스는 1로 시작하지 않고 0으로 시작한다.

특정 순서n부터 끝까지 출력하려면
index[n:] |

값을 수정(치환)하는 방법 : 첫번째 값을 31에서 1로 바꾸기
days_of_months[0] = 1
print(days_of_months)
|

05. 내장함수: .append 값추가, .pop 값 제거
리스트.append(추가할 값)

리스트.pop(제거할 위치)

*기타 내장함수
- 값 추가: .insert()
- 값 제거: .remove()
- 개수 세기: len()
2. 튜플
정의: 하나의 변수에 여러 개의 데이터를 넣고, 이를 순서에 따라서 뽑아 쓴다. 리스트와 동일하다.
특징: 값을 수정/ 추가/ 제거할 수 없는 데이터 유형이다. 바뀌면 안 되는 데이터를 다룰 때 유용하다.
사용법: ( ) 소괄호를 사용하여 순서대로 입력한다.
예시: 1년 12달 각각의 날 수를 days_of_months라는 리스트 변수로 정의해보자
days_of_months = (31, 28, 31, 30, 31, 30, 31, 31, 30, 31, 30, 31)
출처: 패스트 캠퍼스 - 한 번에 끝내는 데이터 분석 초격차 패키지 Online: Python
'데이터 교육 > 파이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파이썬] 제어문: for 반복문 (0) | 2023.11.06 |
---|---|
[파이썬] 제어문: while 반복문 (0) | 2023.11.02 |
[파이썬] 자료형: 숫자형, 문자형 (0) | 2023.10.24 |
[파이썬] 입력, 출력, 변수 (0) | 2023.10.24 |
[파이썬] 파이썬 기초, colab 사용법 (1) | 2023.10.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