*자료형이란?
자료형: 저장되는 데이터의 '형태'를 출력하는 것을 말한다. |
1) 변수 저장

2) type 함수를 사용해서 저장된 데이터의 형태 출력

3) 출력된 3가지의 형태
a = 1 | print(type(a)) | a의 구조 | int | 숫자형(정수: 양수, 0, 음) |
b = 0.1 | print(type(b)) | b의 구조 | float | 숫자형(실수: 1.1, 0.0, -1.1) |
c = 'hello' | print(type(c)) | c의 구조 | str | 문자형 |

1. 숫자형
a의 구조 | int | 숫자형(정수: 양수, 0, 음) |
b의 구조 | float | 숫자형(실수: 1.1, 0.0, -1.1) |
사칙 연산( +덧셈, -뺄셈, *곱셈, **제곱, /나누기, //나누기의 몫값, %나누기의 나머지값 등)을 할 수 있다.
2. 문자형
c의 구조 | str | 문자형 |
- 문자형을 만들기 위해서는 문자를 따옴표(') 혹은 쌍 따옴표(") 로 감싸준다.
ㄴ c = 'hello' or c = "hello'
- 문자형에는 띄어쓰기도 문자로 포함된다.
01. 인덱스
원하는 글자를 출력해주는 함수 | [ ]를 통해 지정 |
cf. 0부터 시작한다.
예제: 'hellow world'의 첫글자를 출력하시오.
1) 변수 저장
2) 첫글자 출력: 0
cf. 마지막 문자 출력: print(a[-1])
02. 슬라이스
원하는 범위 출력해주는 함수 | : 사용 |
01) 6 ~ 8 번째 문자를 출력 : print(a[5:8])
ㄴ 첫번째 숫자는 이상, 두번째 숫자는 미만을 뜻함
즉, 5 이상, 8 미만 = 5,6,7
02) 처음 ~ 5번째 문자를 출력 : print(a[:5])
03) 뒤에서부터 5번째 ~ 마지막 문자를 출력 : print(a[-5:])
03. 문자간 사칙연산
* 덧셈, 곱셈 등이 가능
* 문자형, 숫자형의 혼용
- 방법1: , 사용 하여 나열
- 방법2: 숫자형을 문자형으로 강제로 바꿔준다!
cf. 단순 덧셈으로 바로 섞어 쓰려고 하면 오류가 난다
형태 변환: str 함수(문자형) 를 사용하여 문자로 변환 후 덧셈
방법3: format 함수와 중괄호{} 사용
cf. 두가지 이상의 값 넣기
출처: 패스트 캠퍼스 - 한 번에 끝내는 데이터 분석 초격차 패키지 Online: Python
'데이터 교육 > 파이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파이썬] 제어문: for 반복문 (0) | 2023.11.06 |
---|---|
[파이썬] 제어문: while 반복문 (0) | 2023.11.02 |
[파이썬] 리스트, 튜플 (0) | 2023.11.02 |
[파이썬] 입력, 출력, 변수 (0) | 2023.10.24 |
[파이썬] 파이썬 기초, colab 사용법 (1) | 2023.10.18 |